공공주택 신혼부부 특별공급 소득기준 총정리

🏡 "민영주택은 너무 치열한데, 우리도 청약 기회가 있을까?" 이런 고민을 하는 신혼부부라면 공공주택 특별공급 제도를 꼭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2025년에도 제도는 그대로 운영되지만 소득기준은 2024년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을 따르니 꼭 참고하세요. 


신혼부부 특별공급 조건 보기 신혼부부 특별공급 소득기준 분양전환공공임대주택 소득기준

공공주택 특별공급이란?

공공주택 특별공급은 국가나 LH, 지자체 같은 공공기관이 공급하는 주택 일부를 신혼부부에게 우선 배정하는 제도입니다. 민영주택과 달리 공공 관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격 안정성이 높고, 실수요자 중심 공급이라는 점이 특징이에요.

  • 청약 대상: 혼인 7년 이내 신혼부부, 예비 신혼부부
  • 필수 조건: 무주택 세대, 소득 및 자산 기준 충족

요약: 공공주택 특별공급은 공공기관이 보장하는 안정적인 분양주택을 신혼부부에게 우선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가구원 수가 3인 이하인 경우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 제도의 핵심 특징

2025년 공공주택 특별공급 제도는 기존 틀을 유지하면서도, 실질적인 주거 안정 지원을 위해 보완이 이루어졌습니다.

  1. 👶 신생아 특례 강화 – 출산·입양 가정은 소득·자산 기준을 최대 20%p 완화
  2. 🎲 추첨공급 기회 – 일정 소득을 초과해도 자산 조건을 충족하면 신청 가능
  3. 🏘️ 일반형·나눔형 구분 – 공공분양은 일반형과 나눔형으로 나누어 각기 다른 소득구간 적용

요약: 신생아 특례, 추첨공급, 유형별 소득구간이 공공주택 특별공급의 핵심입니다.


소득기준 적용 방식

청약 소득기준은 항상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따라서 2025년 신청자라 하더라도 소득 계산은 2024년 통계를 기준으로 합니다.

  • 외벌이: 기준 100% 이하 → 우선공급 가능
  • 맞벌이: 기준 120% 이하 → 우선공급 가능
  • 일반공급: 외벌이 100% 초과~130~140% / 맞벌이 120% 초과~140~150%
  • 추첨공급: 외벌이·맞벌이 모두 초과 가구 가능 (단, 200% 이하 & 자산 충족)

요약: 제도는 2025년 기준이지만 수치는 반드시 2024년 소득 기준을 확인해야 합니다.


2024년 기준 소득 세부 수치 (일반형)

공급유형 기준 3인 이하 4인 5인
우선공급 외벌이 100% 이하 ~7,205,312 ~8,578,088 ~9,031,048
맞벌이 120% 이하 ~8,646,374 ~10,293,706 ~10,837,258
일반공급 외벌이 100~130% 7,205,313~9,366,906 8,578,089~11,151,514 9,031,049~11,740,362
맞벌이 120~140% 8,646,375~10,087,437 10,293,707~12,009,323 10,837,259~12,643,467
추첨공급 140%~200% 이하 10,087,438~14,410,624 12,009,324~17,156,176 12,643,468~18,062,096

요약: 일반형 공공주택은 외벌이·맞벌이 구분에 따라 소득구간이 달라집니다.


2024년 기준 소득 세부 수치 (나눔형)

공급유형 기준 3인 이하 4인 5인
우선공급 외벌이 100% 이하 ~7,205,312 ~8,578,088 ~9,031,048
맞벌이 120% 이하 ~8,646,374 ~10,293,706 ~10,837,258
일반공급 외벌이 100~140% 7,205,313~10,087,437 8,578,089~12,009,323 9,031,049~12,643,467
맞벌이 120~150% 8,646,375~10,807,968 10,293,707~12,867,132 10,837,259~13,546,572
추첨공급 150~200% 이하 10,807,969~14,410,624 12,867,133~17,156,176 13,546,573~18,062,096

요약: 나눔형은 일반형보다 더 완화된 소득 기준을 적용받습니다.


맞벌이와 외벌이 차이

같은 가구 소득이라도 외벌이냐 맞벌이냐에 따라 청약 가능 여부가 달라집니다.

예: 제 친구는 맞벌이 4인 가구로 월 소득이 1,020만 원이었는데요,
외벌이였다면 자격 초과로 신청 불가였지만, 맞벌이 기준으로는 일반공급 가능했습니다. ✅

요약: 맞벌이는 외벌이보다 소득 한도가 넓어 청약 기회가 많습니다.


신생아 특례 적용

2025년에도 신생아 특례는 큰 기회입니다. 2023년 3월 28일 이후 출산·입양 가정은 소득·자산 기준이 20%p 완화됩니다.

예: 맞벌이 4인 가구 소득 1,150만 원 → 원래는 불가 ❌
신생아 특례 적용 시 일반공급 신청 가능 ✅

요약: 신생아 특례는 기준을 넘는 가구에도 청약 자격을 부여합니다.


추첨공급 제도

소득이 기준을 초과하더라도 자산 요건이 충족되면 추첨공급 기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지인 B 부부는 월 소득이 1,250만 원이었지만 부동산 자산이 적어 추첨공급 자격을 획득했어요. 🎲

요약: 추첨공급은 고소득 가구라도 자산 조건을 충족하면 기회를 줍니다.


자산 기준 체크

소득만 충족되면 끝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공공주택은 자산 기준도 꼼꼼히 봅니다. 토지, 건물, 자동차까지 포함해 합산 자산이 일정 금액을 넘으면 청약이 거절될 수 있어요.

제 친척분도 부모님 땅이 합산되어 자산 기준을 초과해 신청이 무산된 적이 있었습니다.

요약: 자산 기준은 청약 자격의 마지막 관문입니다.


실제 사례 모음

  • 사례 1: 외벌이 3인 가구, 월 690만 원 → 우선공급 가능
  • 사례 2: 맞벌이 4인 가구, 월 950만 원 → 일반공급 가능
  • 사례 3: 맞벌이 5인 가구, 월 1,250만 원 → 추첨공급 가능
  • 사례 4: 신생아 있는 맞벌이 4인 가구, 월 1,150만 원 → 특례 적용 일반공급 가능

요약: 실제 소득을 대입하면 청약 가능성을 쉽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청약 절차

  1. 혼인 기간 및 무주택 여부 확인
  2. 소득 대입 (2024년 기준 수치 적용)
  3. 공공주택 유형 선택 (일반형 / 나눔형)
  4. 공급 구분 선택 (우선 / 일반 / 추첨)
  5. 신생아 특례 적용 여부 확인
  6. 자산 기준 검토
  7. 청약 신청 진행

요약: 단계별 확인 과정을 거치면 청약 준비가 훨씬 수월합니다.


마무리 ✨

2025년 공공주택 신혼부부 특별공급은 내 집 마련을 준비하는 신혼부부에게 꼭 필요한 제도입니다. 소득 기준은 2024년 도시근로자 통계를 따르기 때문에 본인의 상황을 정확히 대입해 확인해야 합니다.

맞벌이·외벌이 여부, 신생아 특례, 추첨공급 여부까지 꼼꼼히 체크하면 생각보다 더 많은 기회가 열릴 수 있어요. 저도 지인들의 사례를 보면서 "한 번만 확인해도 길이 열린다"는 걸 많이 느꼈습니다. 😄

👉 이어지는 다음 글에서는 신혼부부 특별공급 신생아 특례와 추첨공급 조건을 상세히 다뤄드리겠습니다. 청약 자격 여부를 가르는 핵심 제도이니 놓치지 마세요! 🏢

다음 이전